2025/04/12 2

스파이 패밀리 vs 금쪽이: 저출산을 대하는 일본과 한국의 자세

얼마 전, '스파이 패밀리' 시즌3 광고를 우연히 보게 됐다. 여전히 유쾌하고 따뜻한 분위기 속에서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성장하는 모습을 예고편 하나만으로도 느낄 수 있었다. 그 순간, 일본 콘텐츠는 왜 이렇게까지 가족의 소중함을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자연스레, 한국에서 흔히 접하는 육아·결혼 콘텐츠들과 비교하게 되었다.문화 콘텐츠가 보여주는 저출산 시대의 상반된 풍경한국과 일본 모두 심각한 출산율 위기를 겪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두 나라가 이 위기를 받아들이고 대중문화 속에서 그것을 반영하는 방식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가족과 육아를 다루는 콘텐츠의 양상이다.일본은 가족이라는 공동체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그것을 서사의 중심에 둠으로써 ..

설거지론과 도축론을 일본인에게 들려주었다.

🧩 설거지론과 도축론: 불균형한 제도의 반작용최근 한국 사회에서 회자되는 '설거지론'과 '도축론'은 한국 결혼문화의 구조적 불균형을 보다 날카롭게 드러내는 개념이다.'설거지론'은 젊은 시절 자유로운 연애나 성적 문란함을 즐긴 여성이, 일정 나이가 지난 후에는 연애 경험이 부족하거나 순진한 남성과 결혼하여 경제적으로만 의존하거나 착취하는 상황을 비판한다. 여기서 '설거지'라는 표현은 다른 사람이 사용한 식기를 대신 치우는 행위에 비유해, 과거 남성들과의 관계를 즐긴 여성이 이제 와서 순진한 남성의 자원과 헌신을 받는 불합리함을 지적하는 데 쓰인다. 이 개념은 주로 남성 중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퍼졌으며, 일부 사례는 SNS에서 공론화되기도 했다.'도축론'은 한국의 이혼 제도가 여성에게 지나치게 유리하게 ..